본문내용
교육목표
- 1. 한국 문화와 풍속을 폭넓게 이해한다.
- 2. 한국어로 이루어지는 강의를 통해 전공 학문을 수학하는 데 필요한 한국어 능력을 갖춘다.
- 3. 한국인과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한국어 구사 능력을 갖춘다.
-
- 초급
-
- 1단계
-
- 자음과 모음 습득
- 약 800개의 기초 어휘와 문법, 문장 구조 등을 이해 및 습득
- 인사, 예절, 자기소개 등 기초 생활 회화 습득 및 활용
-
- 2단계
-
- 약 1,500~2,000개의 어휘 습득
- 우체국, 은행 등의 공공시설 이용에 필요한 한국어 기능 습득 및 표현
- 기초 실용회화 및 문법, 문장 구조 등을 이해하고 활용
-
- 중급
-
- 3단계
-
- 문어와 구어의 기본적인 특성 이해 및 사용
- 한국어의 기본적인 변칙 활용 용언 및 관용어 표현 이해
- 어휘와 문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활용
-
- 4단계
-
- 뉴스, 신문 등 시사적인 내용 이해
- 사자성어 및 한자 표현을 알고 활용
- 공공기관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직장 생활 기본 업무에 필요한 한국어 습득
-
- 고급
-
- 5단계
-
- 속담 및 관용어와 다양하고 전문적인 내용 등을 학습
- 다양한 한국어 어휘 및 문법에 대한 이해 능력 향상
-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에 관련된 어휘 및 문장 활용
-
- 6단계
-
- 전문 분야에서 연구 및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습득 및 기능 이해
- 토의 및 토론에서 자신의 의견을 한국어로 정확하게 표현
-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․문화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활용